728x90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

서블릿이란 자바를 사용해서 웹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 이다.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요청을 하면 그에 대한 결과를 전송해줘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자바프로그램이 서블릿이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려고 아이디와 비밀번홀을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서버를 클라이언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다음페이지를 띄어주어야 하는데
이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서블릿이다.

서블릿은 독자적으로 실행할 수 없고 톰캣과 같은 JSP/Servlet 컨테이너에서만 실행이 가능하다.

서블릿 동작과정


https://mangkyu.tistory.com/14

 

[JSP] 서블릿(Servlet)이란?

1. Servlet(서블릿) 서블릿을 한 줄로 정의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 간단히 말해

mangkyu.tistory.com

https://jusungpark.tistory.com/15

 

Servlet 이란? 서블릿 이란?

자바 개발을 한다면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웹 서버 개발자라면 필히 알고있어야지!! 책과 인터넷을 뒤져보다 제일 이해하기 쉬운 블로그의 글을 가져와서 조금 수정했다. 1. 서블릿이란

jusungpark.tistory.com

https://morningcoding.tistory.com/entry/JSP%EC%99%80-Servlet%EC%9D%B4%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

 

JSP와 Servlet이란 무엇인가?

정적 웹 페이지와 동적 웹 페이지 정적 웹 페이지란 '변하지 않는 페이지'를 뜻한다. 모든 이용자에게 동일한 내용을 보여주며, 한 번 작성된 후에, 변동을 보여주지 않는 웹 페이지이다. 동적 웹

morningcoding.tistory.com

 

728x90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DN  (0) 2022.02.09
절대경로, 상대경로  (0) 2022.01.05
JSP (Java Server Page)  (0) 2021.10.25
정규표현식  (0) 2021.08.09
패키지 시작이름 (import)  (0) 2021.08.05
728x90

web.xml파일에 선언한 <servlet>태그는 HttpServlet을 상속받고 있는 클래스를 web.xml에 등록할 때 사용한다.
그리고 web.xml파일에 <servlet>태그를 사용할려면 반드시 하위에 <servlet-name>과 <servlet-class>태그를 선언해야 한다.

<servlet-name>태그는 등록할려고 하는 서블릿에 이름을 부여하는 것이고
서블릿의 이름은 개발자가 지정해주는 것이다. 
서블릿의 이름을 지정해주고 나면 이후에는 클래스 이름을 사용하면 안돼고 지정해준 이름을 사용해야 한다.

<servlet-class>태그는 등록하는 서블릿의 실제 클래스 이름을 지정한다.

등록하는 서블릿의 위치.서블릿 이름 을 선언하면 된다.

<servlet-class>에 작성한 주소로 웹서버가 서블릿 객체를 찾아 올바르게 서블릿에 관한 설정을 할 수 있다.
웹서버가 서블릿을 찾아갈 때 사용하는 정보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작성해야 한다. 

<servlet-mapping>태그는 web.xml에서 <servlet>태그로 등록한 서블릿을 실행 요청할때 사용할 URL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 태그는 <servlet>태그를 사용했을 때만 사용할 수 있고 <servlet>로 등록된 서블릿이 아니면 사용할 수없다.

<servlet-name>태그는 실행할 서블릿 이름을 지정한다.
이때 지정하는 이름은 반드시 <servlet>태그에서 등록한 서블릿 이름으로 지정해야 한다.
위의 사진으로 보면 web.xml파일의 6번줄에 선언한 이름을 16번에 사용해야한다.
만약 6번줄 처럼 <servlet>태그에서 등록하지 않은 이름으로 <servlet-name>을 설정하면 web.xml는 오류가 난다.
web.xml은 이정보를 가지고 <servlet>태그를 찾아 매핑한 다음 실제 서블릿 클래스와 연결된다.

<url-pattern>태그는 서블릿을 실행할 때 사용할 URL을 지정한다.
URL을 지정할 때 전체 URL정보를 모두 지정하는게 아니라 'http://서버주고:포트번호/웹 애플리케이션이름' 은 생략하고 그 다음인.~만 입력하면된다. 앞부분은 *로 작성하면 된다.
위사진의 web.xml파일을 보면 'http://서버주고:포트번호/웹 애플리케이션이름' 은 *로 대체하고 .do로 패턴을 선언했다.

 


위의 사진에선 7번줄에 작성한 경로에 위치한 서블릿의 이름을 6번줄에 ControlServlet로 선언했고
15번줄에 mapping태그에서 name을 통해 연결?하고 url패턴을 *.do로 선언해서
주소의 끝에 do를 쓰면 서블릿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WebServlet

@어노테이션은 자바에서 주석처럼 소스안에 @기호와 함께 사용된다.
컴파일러에게 정보를 알려주거나 자바 프로그램 실행에 관한 내용을 설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어노테이션을 통해 접근하려면 서블릿의 클래스 선언부 앞에 @WebServlet(접근시 사용할 url)를 지정하면 된다.
사용하게 되면 javax.servlet.annotation.WebServlet; 클래스를 임포트해줘야 한다.

 

728x90

+ Recent posts